[에너지산업신문]
한국전기연구원은 최근 국제전기차충전협의체 ‘차린(CharIN)’으로부터 세계 최초 ‘전기차 글로벌 상호운용 적합성 평가기관’으로 지정됐다.
기념식은 전기연구원 유동욱 원장 직무대행, 차린 코리아 이민정 이사 등 주요 관계자들이 참석한 가운데 경남 창원 본원에서 29일 열렸다.
차린은 배터리로 구동되는 모든 종류의 전기차 충전시스템의 국제 표준 개발을 촉진하고, 이에 적합한 시험인증 프로그램을 구축하는 국제 민간 기술협의체다. 현재 현대·기아·BMW·폭스바겐·GM 등 전 세계 주요 전기차 제조 대기업뿐만 아니라, 충전기 관련 업체까지 약 216개 기관이 차린의 핵심 멤버로 참여할 만큼 전 세계 전기차 시장에서 막강한 영향력을 가지고 있다.
전기차 급속충전 시장에서는 충전 인프라의 외형적 호환성은 준수되고 있으나, 통신 및 충전 시퀀스 관련 소프트웨어적 상호운용성(호환성) 문제로 인해 에러가 발생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불편을 겪고 있다.
활성화 여지가 큰 전기차 시장에서 대기업 위주의 완성차 기업과 중소·중견 기업 중심인 충전기 기업이 인프라 구축에 참여하다 보면, 제조사별로 표준 해석의 차이점을 발견할 경우가 있다. 이에 따라 급속충전 시 현장에서 충전 불가능 상황이나 중단 사태, 충전 후 커넥터 잠김 등도 발생한다.
전기차-충전기 간 상호 운용성을 사전 점검하고 해결방안을 제시할 국제공인 시험인증 기관을 지정하기 위해 차린은 3년 4개월간의 준비와 자격 검증을 거쳐 최근 한국전기연구원과 독일의 데크라(DEKRA)를 세계 최초 ‘전기차 상호운용 적합성 평가기관’으로 공동 지정했다.
차린으로부터 적합성 평가기관 자격을 받기 위한 핵심 조건은 ▲다수의 전기차 및 충전기를 한 번에 시험할 수 있는 전기·전력 인프라 ▲전기차 충전 시스템 및 시험인증 프로그램 구축 등 국제 표준 개발에 기여할 수 있는 전문가 보유 ▲다양한 시험인증 경험 및 국제무대 활동 등이다.
연구원은 전력기기에 대한 국제공인 시험인증 기관으로서, 세계 최고 수준의 대전력·고전압 시험 설비를 기반으로, 아시아 최초 차린 전기차 기술분과 팀 리더인 서우현 팀장을 배출하는 등 전문인력을 다수 보유하고 있다.
2018년부터 국내외를 대표하는 전기차 대기업 및 충전기 제조사들을 한자리에 모아 기술적 문제를 점검하는 ‘국제 테스티벌’을 개최하는 등 풍부한 시험인증 경험도 가지고 있어 세계 최초 국제 적합성 평가기관이 됐다.
이번 평가기관 지정으로, 전기차 완성차 및 충전기 관련 국내 제조업체들이 비싼 운송비와 시험료를 내면서 해외 시험기관에 갈 필요 없이 국내에서 시험을 받을 수 있게 됐다. 특히 코로나19와 같은 국가 간 이동이 어려운 상황에서 국내 시험인증 기관의 존재는 기업들의 수출 경쟁력을 높여 줄 수 있다.
전기연구원 스마트그리드시험실에 따르면 국내 업체들이 연구원에서 적합성 시험을 받을 경우 전기차 1개 모델 기준 물류비, 시험료, 출장비 등 약 1.4억원의 비용 절감, 충전기 제조사는 1개 모델 기준 약 1억원의 비용 절감과 약 2개월의 제작기간 단축효과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
전기차 충전 신기술 시험인증 범위는 ‘전기차 내 인증서를 통한 자동결재 기술(Plug & Charge)’, ‘전력망 연계 충·방전 기술(Vehicle to Grid)’ 등에 이르기까지 확대한다. 10월에는 차린 및 국내외 제조사들이 함께하는 ‘2021 국제 전기차 테스티벌’을 개최하고, 전기차 급속충전 국제 표준을 선도하는 기반을 마련한다.
안상필 전기연구원 스마트그리드시험실장은 “전기차 초창기에는 안전과 성능에만 주력했지만, 현재는 전기차와 충전기 간 상호운용성이 전 세계적인 관심 대상”이라며 “전기차 상호운용 적합성 평가기관 지정은 글로벌 전기차 시장 선제 대응과 국내 제조사 수출 지원의 첫걸음”이라고 전했다.
한국전기연구원이 차린으로부터 '전기차 글로벌 상호운용 적합성 평가기관'으로 지정됐다. 한국전기연구원 유동욱 원장 직대와 차린 코리아 이민정 이사가 함께 포즈를 취하고 있다. (c) 한국전기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