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산업신문]
신영대 국회 이차전지포럼 대표 의원(더불어민주당, 전북 군산‧김제‧부안갑)이 배터리 소재산업 경쟁력 강화와 글로벌 시장 선점을 위해 정책 지원이 필요하다고 13일 밝혔다.
신 의원은 이날 국회의원회관 제1세미나실에서 박성민 의원과 함께 ‘글로벌 공급망 재편에 따른 소재산업 경쟁력 강화’를 주제로 토론회를 개최했다. 이 자리에서는 최근 글로벌 공급망의 급격한 변화와 주요 국가들의 전략적 자원 확보 경쟁 속에서 위기에 처한 국내 이차전지 소재산업 현황을 진단하고 경쟁력 강화 방안을 모색했다.
신 의원은 토론회를 앞두고 “글로벌 배터리 시장은 리튬, 니켈, 코발트 등 핵심 소재 확보를 놓고 치열한 경쟁이 벌어지고 있으며, 특히 중국의 독점적 지위가 강화되고 있다”며, “국내 이차전지 산업의 글로벌 경쟁력 확보를 위해 과감하고 신속한 정책적 지원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는 서면 축사를 통해 “대한민국 이차전지 소재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과감한 혁신과 신속한 정책 대응이 반드시 필요하다” 고 밝혔다. 박찬대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는 “이번 토론회가 국내 배터리 소재산업 현황을 철저히 분석하고 실질적인 정책 대안을 마련하는 중요한 자리가 될 것”이라고 전했다.
박재범 포스코경영연구원 수석연구원, 이정두 한국산업기술기획평가원 이차전지 PD를 비롯한 정부 부처 관계자와 산업계 전문가들이 토론회에 참여했다. 이들은 리튬이온 배터리 소재 자급률 제고, 연구개발 확대 방안, 핵심 원자재 확보 전략, 글로벌 규제 대응 방안 등을 논의했다. 이미연 유진테크놀로지 대표이사와 포스코퓨처엠, 고려아연, 금양, 엔켐, 에코앤드림, 천보 등 주요 배터리 소재 제조업체 관계자들도 참석해 정부의 연구개발 적극 지원 필요성을 강조했다.
신영대 의원은 “이차전지 소재 산업이 국가전략산업으로 자리 잡을 수 있도록 정부와 함께 세제 지원, 규제 개선, 금융 지원 등 전방위 지원 패키지를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신영대 국회 이차전지포럼 대표 의원. (c)신영대 국희의원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