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산업신문]
한전KDN이 지난 9일 광주광역시청에서 광주광역시, 광주도시공사, 지역 에너지기업 등과 함께 ‘분산에너지 활성화 및 특화지역 조성’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은 정부가 추진하는 분산에너지 특화지역(분산특구) 사업에 대응해 참여기관 간 기술 교류와 협력 체계를 구축하기 위해 마련됐다. 분산특구는 재생에너지, 연료전지 등 분산형 에너지원을 지역 단위에서 생산·소비하는 시스템을 활성화하기 위해 지정되는 특별구역이다. 사업자가 발전과 판매를 동시에 진행할 수 있으며, 한국전력과 차별화된 요금제도 도입할 수 있다.
협약식에는 박상형 한전KDN 사장, 강기정 광주광역시장을 비롯해 김승남 광주도시공사 사장, 유병천 레플러스 대표, 전석 그리다에너지 대표, 김찬영 광주테크노파크 본부장 등 6개 기관·기업 관계자가 참석했다. 협약 내용에는 △분산특구 지정 및 조성 △정책 수립·실현 △실증 및 신기술 개발 △에너지 신산업 기업 지원 등이 포함됐다.
광주광역시는 분산특구를 전력 신산업의 테스트베드로 활용하는 계획을 세웠다. 기존 태양광발전소와 에너지저장장치(ESS)에 클라우드 기반 에너지ICT 솔루션을 접목해 ‘도심형 분산에너지 마켓플레이스’를 실증하고, 산업통상자원부 분산특구 지정을 선점하는 게 목표다.
한전KDN은 광주시의 분산특구 모델 구현을 위해 공공 클라우드 기반의 마이크로그리드 에너지관리시스템(MG-EMS), 가상발전소(VPP), 마이크로인버터 등 첨단 에너지ICT 솔루션을 지원한다.
박상형 한전KDN 사장은 “이번 협약으로 분산특구 지정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지길 바라며, 한전KDN의 기술력으로 이를 지원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전KDN이 참여하는 광주광역시 분산특구 지정 협력 업무협약 참여기관 대표들. (c)한전KD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