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산업신문]
한국광해광업공단이 우리나라의 수은 오염토 정화기술을 인도네시아 현지에 시범 적용한다.
광해광업공단은 15일 인도네시아 중앙칼리만탄 주 푸두자야(Pudu Jaya) 광산에서 수은오염 시범복구 현장운영 착공식을 열었다. 이 현장은 산업통상자원부 공적개발원조 사업으로 2020년부터 2024년까지 52억원을 들여 추진 중이다.
이 자리에는 우리 측에서 이재민 한국산업기술진흥원 아세안사무소장, 최승진 광해광업공단 해외협력처장, 김요한 벽산엔지니어링 본부장 등이 참석했다. 인도네시아 측에서는 에너지광물자원부 광물석탄청·광물석탄시험센터, 중앙칼리만탄 코타와링긴 지방환경산림청 등의 관계자 등이 참석했다.
광해광업공단 컨소시엄은 2021년 11월부터 2022년 9월까지 실시한 인도네시아 소규모 금광개발지역 6개 주 23개소 수은오염 실태조사 결과를 기반으로 최종 사업대상지인 중부 칼리만탄주 푸두 자야 광산을 선정했다. 컨소시엄은 한국에서 제작된 열처리장치를 통해 향후 광산지역 수은 오염토 약 3600톤을 처리할 예정이다.
최승진 광해광업공단 해외협력처장은 “한국 수은오염토 정화기술이 현지에서 시범 적용돼 광산지역 환경과 주민의 삶이 개선되길 바라며, 한국과 인도네시아의 친환경 지속가능 광물자원 개발과 광해관리 협력의 발판이 되길 희망한다”고 말했다.
한국광해광업공단은 15일 인도네시아 중앙칼리만탄 주 푸두자야 광산에서 수은오염 시범복구 현장운영 착공식을 열었다. (c)한국광해광업공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