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산업신문]
폐식용유와 동식물성 유지 등을 석유정제 공정으로 처리하는 사업에 에쓰오일이 속도를 내고 있다.
이 회사는 폐기물 기반 바이오 원료를 정유 공장에 투입해 휘발유와 경유 등 연료유와 석유화학 원료로 생산하는 공정의 실증사업을 추진 중이라고 30일 밝혔다.
이를 위해 에쓰오일은 정부에 실증특례 규제 유예(샌드박스)를 신청했다. 이 회사는 앞서 3월에도 폐플라스틱 열분해유를 기존 석유정제 공정에 투입해 휘발유와 경유 등 연료유와 석유화학 원료로 생산하는 실증 사업을 위해 규제 유예를 신청했다.
신청이 통과되면 에쓰오일은 정유 공정에서 원유 뿐만 아니라, 폐식용유와 동물성 유지, 폐플라스틱 열분해유 등 다양한 대체 원료를 투입해 휘발유와 등유, 경유, 나프타 등으로 생산해 내는 실증사업을 실시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기존 연료유 및 석유화학 제품과 품질은 동일하지만, 탄소함유량이 적은 에너지를 사용해 탄소집약도가 낮은 제품이 생산된다.
규제 유예가 결정되면 원료 투입 초기 테스트를 진행해 공정을 안정화하는 단계가 필요하다. 폐플라스틱 열분해유와 바이오 기반 원료 혼합 비율을 조정하면서 전체 제품 수율 변화와 공정 영향성을 평가해 친환경 제품 생산량을 높인다.
에쓰오일은 정부의 친환경 에너지 정책과 글로벌 환경 규제 강화에 대비하기 위해 ESG 경영을 적극 추진 중이다. 바이오 기반 원료와 폐플라스틱 열분해유 기반의 제품은 지속가능성 국제인증(ISCC PLUS)을 받아 탄소배출 감축 효과를 구체화하고 저탄소 순환 경제에도 이바지할 것으로 기대된다.
에쓰오일 관계자는 “현행법상 폐기물로 분류되는 대체원료는 정유시설에서 처리할 수 없어 인허가 취득 등에 오랜 시간이 소요되기 때문에 상용화 연구 등을 위해 한시적 규제 특례가 필요하다”며 “저탄소 순환형 신에너지 사업을 적극 추진해 ‘최고의 경쟁력과 창의성을 갖춘 친환경 에너지 화학 기업’ 비전을 실현할 것”이라고 말했다.
에쓰오일 정유 공장. (c)에쓰오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