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산업신문]

한국수력원자력은 23일 창원 컨벤션센터에서 한국원자력연구원, 서울대학교와 함께 그래픽 처리 장치(GPU) 기반 원자력발전소 노심해석 전산코드인 프라그마(PRAGMA) 개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프라그마는 ‘그래픽처리장치(GPU) 기반 몬테칼로 알고리즘 이용 원자로 분석(Power Reactor Analysis using GPU-based Monte Carlo Algorithm)’의 약어다. 노심해석 전산코드는 원자로 노심의 중성자 활동 등을 분석하는 프로그램이다.

협약에 따라 이들 기관은 현재 개발 중인 소형원자로(SMR) 가상플랫폼 사업에 활용 가능한 프라그마를 개발하고, 4세대 원자로 등 차세대 원전 적용 기술을 개발하기로 했다. 소형원자로 가상플랫폼은 디지털트윈으로 소형원자로를 구현하는 것을 말한다.

프라그마는 원자력발전소의 설계와 안전성을 초정밀도로 평가하는 데 사용되는 선두 기술이다. 한수원과 서울대학교는 지난 2018년부터 올 연말 완료를 목표로 기존의 중앙처리장치(CPU)를 이용한 기술에서 벗어나 GPU 기반으로 프라그마를 개발하고 있다. 프라그마는 기존 전산코드와 비교해 계산 속도가 약 50~100배 이상 빠르며, 대규모 데이터도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다. 순수 우리 기술로 개발해 향후 수출도 기대할 수 있다.

한국수력원자력 관계자는 "이번 협약은 소형원자로와 4세대 원전 등 차세대 원전 기술을 선도하는 계기”라며 “한수원은 국내 순수 기술로 원자력발전소의 설계와 안전성을 혁신하는 데 앞장설 것”이라고 말했다.

한국수력원자력은 23일 창원 컨벤션센터에서 한국원자력연구원, 서울대학교와 함께 그래픽 처리 장치(GPU) 기반 원자력발전소 노심해석 전산코드인 프라그마(PRAGMA) 개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c)한국수력원자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