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산업신문]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14일 경남 거제에 위치한 한화오션 거제사업장을 방문해 초대형 액화천연가스(LNG) 운반선 2척의 명명식에 참석했다. 김 장관 취임 이후 첫 산업현장 방문이다.
김 장관은 미국 해군 함정 유지·보수·개조 현장을 직접 점검하고, 우리나라 조선 산업의 글로벌 경쟁력과 한미 조선 협력의 미래를 직접 확인했다. 명명된 2척의 LNG운반선은 미국 LNG 생산기업이 2022년 한화오션에 발주한 총 5척, 12억 달러 규모 중 첫 번째 인도 선박이다. 1척당 20만㎥의 LNG를 운반할 수 있는 초대형 선박이다. 우리 국민의 하루치 LNG 사용량에 해당하는 규모로, 미국산 에너지의 글로벌 수출을 위한 핵심 수단으로 활용될 예정이다.
특히 이번 프로젝트는 미국 선주가 자국산 에너지 운반을 위해 한국 조선소와 협력한 사례다.
현재 전 세계에서 운항 중인 LNG선 760척 중 70% 이상이 한국에서 건조되었으며, 2025년 상반기 글로벌 LNG선 발주량의 100%를 한국이 수주하는 등 K-조선은 LNG 운반선 시장에서 압도적인 경쟁력을 유지하고 있다.
김 장관은 축사에서 “미국 내 조선소 투자, 숙련 인력 양성, 공급망 재건을 지원하고, 우리 기업의 새로운 시장 진출을 창출하기 위해 정부는 관계기관 협의체를 조속히 구성하고 미측과 수시로 협의해 구체적 성과를 도출하겠다”고 밝혔다.
김 장관은 한화오션이 수행 중인 미국 해군 함정 개조 보수 현장을 방문해 임직원 및 찰스 드루(Charles Drew)호 승조원들을 격려했다. 해당 함정은 4만 1000톤급 전투지원함으로, 금년 11월 말 인도를 목표로 개조 작업이 진행 중이다.
김 장관은 마지막 일정으로 한화오션 노조 김유철 대우조선지회장을 면담하고, 조선업 재도약에 기여한 현장 근로자들의 헌신에 감사를 표했다. 산업부 장관이 조선소 노조위원장을 직접 면담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김 장관은 “현장 안전에는 노사가 따로 있을 수 없다”며 “노·사·정부가 원팀으로 산재 예방에 만전을 기하자”고 했다.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오른쪽 네번째)과 관계자들이 찰스드루 호 앞에서 함께 포즈를 취하고 있다. (c) 산업통상자원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