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재생에너지 전력, RE100 필요 산단과 직접 연결 가능할까?
한국해상그리드산업협회, ‘해상풍력 전력망 확충 어떻게 할 것인가’ 세미나
이종훈
승인
2024.10.30 09:10 | 최종 수정 2024.10.30 17:15
의견
0
[에너지산업신문]
해상풍력발전과 태양광발전, 수소연료전지 발전 등 각종 신재생에너지 수단으로부터 생산되는 전력 송출지와 RE100 전력이 필요한 산업단지를 직접 연결하자는 아이디어가 제안됐다.
이윤영 코펜하겐인프라스트럭쳐파트너스(CIP) 상무는 28일 서울 중구 상연재에서 열린 ‘해상풍력 전력망 확충 어떻게 할 것인가?’ 세미나에서 ‘유럽 해상 에너지 허브 및 HVDC 개발 사례 및 시사점’을 발표하고 이같이 밝혔다.
이 상무는 “해상풍력발전은 탈탄소화 달성을 위해 중요한 역할을 수행해 유럽 및 아시아 시장에서 대규모로 생산할 수 있을 것”이라며 “대규모 해상풍력단지 개발과 송전망 보강을 효율적으로 구현하기 위해 에너지 아일랜드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그는 “유럽 주요 국가 사례를 참고해 비용 효율성과 확장성이 우수한 솔루션을 도출해야 한다”며 “한국형 해상 에너지 허브와 초고압직류송전 개념을 적용해 신재생에너지 전력 송출지와 수도권 첨단 산업단지 구역을 해상으로 직접 연결하면 전력망 부족을 해소하고 해상풍력 발전소를 빠르게 확장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성규 한국전력 실장은 “대규모 해상풍력 계통 연계를 위해 해상풍력 공동접속 설비를 마련하고 다수의 발전사가 공동으로 접속설비를 이용해 망운영 최적화와 비용 효율을 제고할 수 있다“고 말했다.
이 실장은 “전력계통 이슈 대응을 위한 전력망 확충을 지원하고 전력수급 안정을 위한 전력망 최적화와 발전사업자 공용망 직접 건설 제도 정비를 추진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유승훈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교수는 ‘국내 해상풍력 현황 및 계획과 전력망 이슈’ 발표에서 “서해안 HVDC망과 해상풍력을 서둘러 연결하고 무탄소 전원을 적시에 안정적으로 공급해 육상 전력망 혼잡 현상을 완화해야 한다”며 “국가기간 전력망 확충 특별법을 반드시 통과시켜 계통을 획기적으로 보강해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최근 산업통상자원부가 발표한 제11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 따라 정부는 2030년 국내 풍력 설비 용량을 전기 계획인 16.4기가와트(GW)에서 1.9GW 늘어난 18.3GW로 산정했다. 한국해상그리드산업협회에 따르면 해상풍력 시장의 급성장에 따라 해상 발전 전력을 소비지인 육상 및 타 지역으로 송전할 전력망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한국해상그리드산업협회 관계자는 “‘국내 해상풍력 산업 경쟁력 확보 정책 토론회’, ‘해상풍력 산업 활성화 방안 국회세미나’ 등 해상풍력 및 해상그리드 산업 발전을 위한 토론회와 세미나를 다양하게 개최할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에너지산업신문,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