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산업신문]
대량의 석탄과 천연가스 등 발전용 연료를 하역하고 이송해 중대 재해 발생 가능성이 상존하는 항만 시설에 사물인터넷(IoT) 기반 안전관리 플랫폼이 국내 최초로 시범 도입된다.
한국전력공사는 19일 충남 서천군 한국중부발전 신서천발전본부에서 ‘IoT 기반 발전소 항만시설 안전 관리 플랫폼’ 준공식을 개최했다. 이 자리에는 한전, 중부발전, 삼성중공업, 넥스트코어테크놀로지 등 관련 기업 관계자들이 참석해 플랫폼의 주요 기능과 운영 계획을 공유했다.
2022년부터 시행 중인 ‘항만안전특별법’에 따라 중대재해 예방을 위한 항만 내 안전 조치가 의무화됐다. 이번에 준공한 플랫폼은 선박의 정박부터 하역 과정까지 실시간으로 감시하고, 사고 발생 가능성을 사전에 감지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한전 전력연구원은 플랫폼 개발에서 인공지능(AI) 행동 인식 알고리즘을 제공해 핵심 기술 개발을 주도했다. 이 알고리즘은 작업자의 위험 행동을 자동으로 감지해 실시간 경고를 제공할 수 있어, 항만 내 인명사고 저감에 크게 기여할 수 있다.
한국중부발전은 항만 설계도 및 선박 접안 모니터링 시스템(DAS, Docking Aid System) 운영 방안을 설계하고 실제 항만 환경에 최적화된 기술을 개발했다. 삼성중공업은 선박 주변을 실시간으로 원격 감시할 수 있는 선박 어라운드 뷰 시스템(SVISION)을 선박 및 부두에 양방향으로 설치해 선박 충돌 위험을 방지했다. 넥스트 코어테크놀로지는 IoT 데이터베이스를 취득하고 연계하는 기술을 플랫폼에 적용했다.
2023년부터 한전 전력연구원은 한국중부발전과 함께 ‘IoT 기반 연료 하역작업 안전 관리 플랫폼’을 공동 과제로 연구해 왔다. 대형 화물 하역이 빈번하게 이뤄지고, 특히 발전소에서 쓰이는 연료를 들여오는 통로인 항만에서 작업자의 안전 확보를 위해 스마트화·자동화 기술을 안전관리에 적용하는 방안이 도출됐다.
이번에 개발된 플랫폼은 발전소 항만 이외에도 다양한 항만 및 부두에 적용할 수 있다. 한전 측은 이 기술을 보급하면 발전공기업은 물론 민간기업 발전소와 연계된 항만과 산업 전반 안전 관리 수준을 높일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한전 전력연구원 관계자는 “사물인터넷(IoT) 기반 안전관리 플랫폼이 적용되면 국내 항만 안전 관리를 더욱 체계화할 수 있을 것”이라며 “한전은 앞으로도 발전사와 함께 기술을 개발해, 더욱 안전한 작업 환경을 조성하겠다”고 밝혔다.
한국전력공사 전력연구원과 한국중부발전이 넥스트코어테크놀로지, 삼성중공업과 함께 충남 서천군 신서천발전본부에 사물인터넷 기반 항만시설 안전관리 플랫폼을 19일 준공했다. (c)한국전력공사 전력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