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산업신문]
국가 핵심에너지인 수입산 액화천연가스(LNG)를 향후 전량 외국선사에서 운송하게 될 수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이원택 국회의원(더불어민주당, 농식품위)은 한국가스공사와 한국해양진흥공사에서 국정감사 자료를 제출받아 15일 이같이 밝혔다.
이 의원이 제출받은 ‘한국가스공사 운송계약 현황 분석’ 국정감사 자료를 보면 2037년부터 모든 수입산 LNG의 운송을 외국 선사가 맡게 된다. 전체 3410톤 가운데 우리나라 선박의 운송 비율은 2020년 52.8%에서 2024년 38.2%로 줄어든 데 이어 2029년이면 12%로 급감하고 2037년에는 0%가 된다.
주요 계약별로는 카타르기업이 올해부터 21년간 매년 200만톤, BP가 19년간 158만톤, 트라피규라(Trafigura) 기업 등이 2028년부터 11년간 330만톤을 각각 운송한다.
이에 대해 이 의원은 “한국가스공사가 운임 단가가 상대적으로 싼 외국 선박을 선호하기 때문”이라며 “유사시 외국 선박이 운송을 중단하면 안보와 산업경제에 큰 문제가 될 수 있으며, 우리나라 선사에 맡기면 인센티브를 주는 제도 등을 만들어 이를 개선해야 한다”고 제안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