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산업신문]

SNE리서치는 2025년 1~8월 기준, 전 세계 전기차(EV, PHEV, HEV)에 사용된 배터리 음극재 적재량이 총 816K톤으로 집계됐다고 21일 밝혔다.

이는 전년 동기 대비 37.9% 증가한 수치다. 같은 기간 중국을 제외한 시장에서는 309K톤이 사용돼 28.6%의 성장률을 기록했다. SNE리서치가 최근 발표한 ‘2025년 9월 글로벌 전기차 배터리 월간 지표(Global EV & Battery Monthly Tracker)에 따르면 업체별로는 중국의 샨샨(ShanShan, 187K톤)과 BTR(144K톤)이 각각 1위와 2위를 차지했다.

두 기업은 주요 배터리 제조사인 CATL, BYD, LG에너지솔루션 등에 공급하며 대규모 생산 역량을 기반으로 시장을 주도하고 있다. 카이진(Kaijin, 78K톤), 샹타이(Shangtai, 86K톤), 신줌(Shinzoom, 59K톤), 즈천(Zichen, 56K톤) 등도 상위권에 포함되며 두 자릿수 성장률을 기록했다.

국적별 점유율에서는 중국 기업이 전체의 95% 이상을 차지했다. 한국 기업은 2.4%, 일본 기업은 2.2% 수준으로 나타났다. 한국은 포스코, 대주전자재료 등을 중심으로 주요 셀 제조사와 협력을 확대하고 있으며, 일본은 히타치(Hitachi), 미쯔비시(Mitsubishi) 등이 기존 고객 기반을 유지하는 전략을 취하고 있다.

시장 환경은 변화 중이다. 천연 및 인조 흑연 수요가 지속되는 가운데, 2025년 7월 미국 상무부가 중국산 인조흑연에 대해 반덤핑 및 상계관세 예비 판정을 내려 북미 배터리사들은 조달 전략을 재편하고 있다. 미국과 유럽은 비중국계 공급망 확보 및 지속가능성 검증을 강화하는 추세다.

한편, 실리콘 복합 음극재(Si-Anode)는 고에너지밀도, 고속충전, 수명 측면에서 대안 소재로 부상하고 있다. 미국, 한국, 유럽 소재 기업들은 상용화 기술 개발과 생산능력 확대에 주력하고 있다. 이에 따라 향후 시장 전략은 공급망 안정성과 협력망 구축에 초점이 맞춰질 것으로 보인다. 단기적으로는 합성흑연 내재화와 생산 거점 다변화가 필요하며, 중기적으로는 실리콘·탄소 복합 소재의 수율 개선과 원가 절감이 주요 과제로 제시된다.

SNE리서치 관계자는 “2025~2027년 기간 동안 시장 경쟁력은 생산량 확대보다 공급망의 구조적 완성도와 지역 간 협력 네트워크 강화 여부에 따라 결정될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