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산업신문]
인천국제공항공사는 지난 20일 오전 공항청사 회의실에서 물류단지 입주기업 3개사와 함께 ‘상생형 RE100 파트너스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상생형 RE100 파트너스’는 인천공항의 물류단지 내 입주기업들이 직접 친환경 재생에너지 전력을 생산해 공항운영 전력으로 공급하는 ‘직접 전력구매계약(PPA)’ 사업이다. 직접PPA는 재생에너지 발전사업자와 전기사용자가 전력시장을 거치지 않고 직접 전력을 거래하는 방식의 계약이다. 협약식에는 배영민 인천국제공항공사 인프라본부장, 박무자 서울항공화물 대표, 원제철 자이언트네트워크그룹 회장, 안락준 인천국제물류센터 상무 등 관계자들이 참석했다.
구체적으로 물류단지 입주기업들은 지붕과 주차장 등 유휴부지 내 태양광 설비를 설치해 전력을 생산하고, 인천공항공사는 생산한 전력의 전량을 구매해 RE100 달성을 위한 비용을 절감한다. 공항과 입주기업이 함께 참여하는 ‘상생형 RE100 모델’은 탄소중립 실현과 더불어 재생에너지 산업 생태계 활성화를 함께 달성할 수 있다는 것이 인천공항 측의 설명이다.
인천공항공사는 입주기업이 원활히 친환경 사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전력공급 기반시설 제공, 기술자문, 행정지원 등 종합적인 지원체계를 마련하기로 했다. 지난 7월 전기사업법 개정으로 1메가와트(MW) 미만의 소규모 재생에너지 설비의 직접 PPA 사업을 운영할 수 있게 됐다. 이번 사업은 해당 제도를 선도적으로 활용한 모범 사례가 될 수 있다고 인천공항 측은 밝혔다.
인천공항은 지난 2022년 아시아 공항 최초로 글로벌 RE100에 가입했다. 글로벌 RE100 달성기준인 2050년보다 10년 앞선 2040년까지 공항운영 전력 100%를 재생에너지로 전환한다는 도전적 목표를 설정했다. 현재 약 49MW까지 재생에너지를 확대 운영 중이며, 2025년에는 공항운영에 필요한 전력의 15%를 친환경 재생에너지로 직접 생산해 공급할 예정이다.
이학재 인천국제공항공사 사장은 “이번 사업은 인천공항의 RE100 실현과 더불어 정부의 탄소중립 목표 이행에 모두 기여할 수 있는 혁신적인 협력 모델”이라며 “앞으로도 친환경 공항구현을 위해 다양한 기업과 적극 협력하며, 혁신적인 친환경 정책을 시행하겠다”고 말했다.
인천공항 상생형 RE100 파트너스 협약식. (c)인천국제공항공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