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너지산업신문]
한국전력은 HD현대일렉트릭과 그리드포밍(GFM) 기반 차세대 계통지원 기술 개발에 본격 착수했다고 28일 밝혔다.
이를 위해 양사는 경기 성남시 HD현대 글로벌 연구개발(R&D)센터에서 HD현대일렉트릭과 GFM 인버터 계통 연계 및 성능 검증 기술 협력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협약에 따라 한전의 실계통 기반 인버터 실증·시험 역량과 HD현대일렉트릭의 전력변환장치 개발·제조 기술력을 결합해, 재생에너지 확대에 대응한 계통 안정화 기술을 공동 개발·검증할 수 있게 됐다.
GFM 인버터는 기존 그리드팔로잉(GFL) 방식과 달리 자체적으로 전압·주파수 기준을 생성해 계통에 전압원을 제공하는 기술이다. 이 특성은 재생에너지 증가로 약화되는 계통 관성과 댐핑을 보완하며, 실계통 실증에서도 주파수 안정도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한전 전력연구원은 제주지역의 부족관성 문제 해결을 위해 GFM 인버터 실증을 수행하며 실제 계통에서의 적용 가능성과 운전 특성을 분석해 왔다. 인버터 제어기술과 계통 안정도 분석 역량을 강화하고, 실증 기반과 모의시험 환경을 구축해 GFM 기술 성능을 체계적으로 검증할 수 있는 연구 기반도 확보했다.
향후 GFM 인버터가 제공할 수 있는 관성지원, 주파수 조정, 전압 유지 등 주요 계통지원 기능을 검증하고, 이를 기반으로 계통 연계 기준과 시험 절차 마련에 필요한 기술적 근거를 강화할 계획이다. 양 기관은 보유한 연구·시험 인프라를 활용해 GFM 실증, 모델 검증, 시험 기준 개발 등 공동 연구를 확대하고, 국내 GFM 기술의 현장 적용성 제고, 계통 연계 기준 개발, 시험·평가 체계를 만들기로 했다.
심은보 한전 전력연구원 원장은 “이번 협약은 GFM 기술의 실계통 적용 가능성을 체계적으로 검증하고, 기술 기준 마련에 기여할 것”이라며 “GFM 기술이 국내 전력망에서 안정적으로 운영될 수 있도록 시험·분석 역량을 계속해서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한국전력공사는 HD현대일렉트릭과 28일 그리드포밍 기술 공동협력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c)한국전력공사